본문 바로가기

卍 Buddhsim, 부처님 말씀/불교를 알기 쉽게12

불교의 의례 불교의례( 佛敎儀禮)에 대하여 간략히 고찰해 보겠습니다.불교의 의례는 아주 다양하고 친절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불교의례를 간단히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하여 그 개괄적인 요소만을 언급해 보면 ㉮ 봉불의례(奉佛儀禮) ㉯ 법회의례(法會儀禮) ㉰ 수행의례 (修行儀禮) ㉱ 일반예절(一般禮節)이렇게 구분하여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봉불 의례 첫째, 봉불 의례를 살펴보겠습니다.불교의 특징은 불상을 거룩하게 모신다는 데 있습니다. 불상이라든지 어떤 형상을모시는 종교는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가 대표적인 것입니다.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그런데 불상을 모시는 데는 첫째로 불상을 조성하는 데부터 상당한 의례와 의식으로 시작이 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철두철미하게 공경심과 근엄성을 가지고 하나하나.. 2025. 3. 22.
7불쇠,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일곱가지 덕목 (1) 數相集會 講義正事不 (수상집회 강의불사불)서로서로 모여서 올바른 일을 의논하고 서로 회의를 자주 하고 있느냐?(2) 君臣和順 上下相敬不 (군신화순 상하상경불)임금과 신하가 화목하고 순응하여 상하 관계에 있어서 서로 존경하는 사회로 되어 있느냐?(3) 奉法曉忌 不違體度不 (봉법효기 불위체도불)과거의 전통적 법도를 잘 알고 예의를 존중하여 어긋남이 없는냐?(4) 孝事父母 敬順師長不 (효사부모 경순사장불)부모를 잘 섬기고 스승을 잘 받드느냐?(5) 恭於宗廟 到敬鬼神不 (공어종묘 도경귀신불)종묘(宗廟)를 잘 받들고 조상의 신들에게 공경을 다하느냐?(6) 閨門眞正 潔正無穢 到於戱笑言不及邪不 (규문진정 계정무예 도어희소언불급아불)여인들의 추한 행동이 없고 말씨가 정직하고 순결하냐?(7) 宗事沙門 敬持戒者 瞻.. 2025. 2. 9.
선(禪)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네팔, 안나푸르나 산군의 마르디히말 오스트리아캠프 인근의 티벳승려(부처님은 법당에만 계시는 것이 아닌, 어디에나 계시는 부처님!. 탄생지인 네팔에서 그것도 무아지경의 경계에서 한없이 바라보이는 그 대상, 그 대상이 세계 3대 미봉의 하나인 .마차푸차레,[물고기 꼬리, 실제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서양에서는 피쉬테일이라 불리운다]. 그 안나푸르나 산군이 곧 부처님이 아닐까?)   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오늘은 선학(仙學)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오늘날은 선(禪)에 대해서 관심이 매우 많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기타 나라에서는 세계적인 추세의 하나로 선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그 이유중에 하나로서는, 현대의 문명사회라 하는 것은 자기를 돌아볼 기회가 흔치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늘 자기자신에 .. 2025. 2. 9.
만다라 신앙에 의한 삼단설치와 육법공양 만다라 신앙에 의한 삼단설치와 육법공양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불교의 신앙(信仰)이 되겠습니다.불교에 있어서 신앙의 대표적인 내용은 바로 밀교(密敎) 관계가 됩니다..불교의 명칭흔히 불교에서는 철학적 체계(哲學的體係)나 보살적 실천(菩薩的實踐)이 많이 강조가 되고, 신앙의 조직과 신앙의 의식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안 알려진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만 특히 이 신앙의 부분에 중점적으로 설명한 것은 바로 불교의 비밀불교(秘密佛敎)입니다.불교에 있어서 비밀 불교라고 하는 것은 그 이름을 비밀교라고도 하고, 진언승(眞言乘)이라고도하고, 금강승(金剛乘)이라고도 합니다.이렇게 비밀교, 진언승, 금강승으로 명칭 지어지는 비밀불교에서는 바로 신앙이 그 핵심이 되는 것입니다.이 비밀불교는 대승불교(大乘佛敎.. 2025. 2. 9.
사찰의 명칭 사찰의 명칭  이 장(章)에서는 사찰과 불교의례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한국의 명산대천(名山大川)에 들어가 보면 어느 곳을 막론하고 절이 없는 곳이 없습니다. 이 사찰의 이름을 순수한 우리말로 볼 때 그대로 절>입니다.그런데 왜 절이라고 하느냐 하는 뜻에 있어서는 의견이 일정하지 않습니다.혹자는 말하기를 신라시대에 인도의 묵호자(默胡子)스님이 신라의 선산 땅에 오셔서 모례(毛禮)라는 집에서 머무르셨기 때문에 모례라고 하는 발음을 신라말로 할 때 떨례라고 했을 것이며, 이 털례가 천례로, 천례가 절례로 바뀌어서 나중에는례자가 생략되어 절>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들을 합니다.그러나 확실히 그런 것인지 여기에 대해서는 일정한 설이 없습니다. 어쨌던 절이라고 합니다또 제가 어렸을 때 선생님으로부터 들은 말씀.. 2025. 2. 9.
자비원력으로서의 보살행 자비원력으로서의 보살행 이번 항목에서는 자비원력으로서의 보살행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며칠 전에 백상기념관에서 사진전을 관람한 적이 있습니다. 그 사진전에 출품된 내용은 혜초 스님의 길을 따라서 인도 전역에 대한 불교 유적을 모두 촬영해서 전시한 내용이었는데, 그 가운데서 여러 면으로 감명을 받은 바가 많습니다.인간에게 있어서는 삶의 방법이 정말로 천태만상이라고 하는 것을 실감했습니다.인도의 여러 지역에 여러 가지의 형태를 우리가 직접 눈으로 보고 느낄 때, 삶이라고 하는 것은 정말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참다운 가치 그렇습니다. 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정말 오묘한 것입니다. 불가사의한 면이 참으로 많습니다.아는 듯 하면서 전혀 모를 것 같은 것이 인간이고, 모르는 것 같으면서도 .. 2025. 2. 9.